분류 전체보기521 [ 파이썬(python) ] 백준 1977 - 완전 제곱 수 📍 백준 1977 - 완전 제곱수 백준 1977 - 완전 제곱수 ⚡️ 나의 풀이 완전 제곱수를 만들 때는 root만 계산하면 되는 줄 알았는데, 반례가 있기 때문에 다시 제곱을 취해줘야 한다는 것을 처음 알았다. 그리고 root를 취할 때 math.sqrt 대신 i ** 0.5를 하면 간편하게 계산 할 수 있다. (이것도 처음 알았다.) 처음 수를 root를 취하자(i^0.5) (first = int(i \*\* 0.5)) first에 다시 거듭제곱(i^2)을 해준다. (second = first \*\* 2) while문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만약, append값이 없으면 ( num == [] )과 같이 사용한다. m = int(input()) n = int(input()) num = [] for .. 2021. 5. 17. [ 리액트(React) ] 함수로 전달해주는 인자가 3개 이상일 때, 객체로 묶어서 전달하기 📍 함수로 전달해주는 인자가 3개 이상일 때, 객체로 묶어서 전달하기 함수로 넘겨주는 인자가 3개 이상이면, 객체 하나로 묶어 가독성이 좋아지게끔 하자. 다음 링크는 JS 클린 코드 지침서를 한국말로 번역한 깃허브링크이다. 어떻게 코드를 짜야할지 감이 오지 않는다면 다음 링크를 참고하자. Robert C. Martin's - Clean Code 한글 번역판 함수(Functions) 예를 들어, defaultScore 객체에 str, dex, int, luck의 능력치가 들어있는데 버튼을 클릭 할 때마다 능력치를 올라가게 설정하려고 한다면,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quizScore에서 인자를 하나하나 따로 떼어서 받는게 아니라 전체를 묶어서 보낸다는 점이다. 이후에 함수 안에서 .. 2021. 5. 16. [ 리액트(React) ] props, onClick, handleClick 자세하게 이해하기 📍 props, onClick, handleClick 자세하게 이해하기 Button 컴포넌트를 모듈화(module)시킬 때 이름을 바로 정하지 말고 props를 사용하여 위에서 값을 설정해서 바꿀 수 있게 끔 설정하자. 다음은 Button 컴포넌트를 외부에서 사용할 때 props로 button의 이름을 변경하는 간단한 기능이다. // components/App.js const App = () => { return ; }; // components/Button/index.js const Button = (props) => { return {props.text}; }; Button 컴포넌트에 handleClick 기능을 달아주고 싶을 때는 마찬가지로 handleClick 컴포넌트를 props로 내려주면 된다.. 2021. 5. 15. [ 파이썬(python) ] 백준 10801 - 카드게임 📍 백준 10801 - 카드게임 백준 10801 - 카드게임 ⚡️ 나의 풀이 어제 풀었던 백준 10214 - Baseball문제와 비교해보면 입력 형태를 제외하고 거의 흡사한 문제였다. 입력받은 A, B 각각의 위치를 대소비교하면 되는데 이럴 때 가장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zip함수를 이용하자. 다만, zip함수는 서로 리스트의 길이가 다르면 사용 할 수 없다. 이 문제는 리스트의 길이가 서로 같으므로 zip함수를 사용 할 수 있다. 대소 비교 이후 값을 누적하고 마지막에 조건에 따라 출력해주면 된다. A = list(map(int, input().split())) B = list(map(int, input().split())) A_cnt, B_cnt = 0, 0 for A_card, B_card in.. 2021. 5. 14. [ 파이썬(python) ] 백준 2845 - 파티가 끝나고 난 뒤 📍 백준 2845 - 파티가 끝나고 난 뒤 백준 2845 - 파티가 끝나고 난 뒤 ⚡️ 나의 풀이 입력에 사람의 수 * 파티가 열렸던 곳의 넓이를 해주면 전체 넓이를 알 수 있고 해당 값을 예제 입력을 하나씩 빼주면 답이 나온다. 리스트 안에서 각각의 원소들을 빼주는 방법은 lambda함수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해결해주고 join 함수를 이용해 괄호를 풀어줬다. people, area = map(int, input().split()) news_paper = list(map(int, input().split())) gap_news_paper = list(map(lambda x: x - (people*area), news_paper)) print(' '.join(map(str, gap_news_paper))) 2021. 5. 14. 이전 1 ··· 79 80 81 82 83 84 85 ··· 105 다음